Buy me a coffee
'AZN' 태그의 글 목록 :: 미국 제약-바이오 주식 투자
반응형
반응형

토요일 아침에 일어났더니 AstraZeneca (AZN)이 Alexion Pharmaceuticals (ALXN)을 인수했다는 보도가 떠있음...

 

현금 + 주식에 인수했는데 계약 조건은 ALXN 한주당 $60의 현금과 2.1243 AZN ADR주. 금요일 종가 기준 주당 약 $175, 총 $39B 규모로 약 45% 프리미엄. 2015년에 ALXN이 $200까지 갔었으니 그때 사신 분은 여전히 물리게 된다눈... 간만의 대형 인수합병이 1월 JPM 헬스케어까지 안기다리고 발표가 났는데 안그래도 요즘 분위기 좋은 바이오쪽 분위기 더 좋아질 듯. 

 

AstraZeneca는 뭐가 급한지 인수합병 발표도 토요일, 보통은 주말 발표시 월요일까지 기다렸다가 하는 컨콜도 토요일 아침에 바로 해버림 (미국 시간 기준). 아래 링크는 컨콜 슬라이드.

www.astrazeneca.com/content/dam/az/PDF/2020/20201212_Call_Alxn_Cmb_prsn.pdf

 

Alexion은 면역체계 내에서 항체, 면역세포의 기능을 도와주는 역할을 하는 선천 면역 체계 (innate immune system)의 일종인 complement system을 타게팅하는 의약품 Soliris로 PNH, aHAUS, gMG, NMOSD 등 이름도 생소한 희귀 면역질환 시장에서 지난 10년간 독점을 해오던 기업.

 

하지만 최근에는 속속 경쟁 제품들이 임상시험에 성공하고 시장에 진입하기 시작하면서 독점도 깨지고 있고, Soliris의 특허절벽이 다가오는데다, 후속 Ultomiris가 시장 진입마저 좀 뒤늦은 감이 있어서 주가는 고전중이었음. 특히 Ultomiris는 투여 스케쥴은 개선했지 효능이 크게 좋아진 것은 아니라 특허 만료 다되가는 블록버스터 후속품으로는 뭔가 2% 부족한 느낌...

 

중간에 activist investor들이 끼어들기도 하고 여러가지 우여곡절을 겪고 여러가지 실망감들이 짬뽕이 되서 $200까지 치솟았던 ALXN주가가 $100대 초반까지 하락하면서 2-3년 전부터 인수합병 대상을 언급할 때 Incyte와 더불어 항상 첫빠따로 언급되던 기업. 방구가 잦으면 뭐가 된다고 결국은 새 보금자리를 찾았음. 아래는 알흠다울뻔했던 ALXN 주가 챠트.

곁다리고 '희귀질환' 분야를 대표하던 기업들 - Genzyme, Shire, 그리고 이제 Alxion까지 결국은 차례대로 인수합병이 됐는데, 다음 타자 Vertex는 인수합병하기에는 너무 덩치가 커져버렸고, 그 다음 타겟은 BioMarin 정도? 최근 혈우병 유전자 치료제의 FDA 승인거부로 주가가 곤두박질쳐있는 상황이라 불가능한 얘기는 아닐 듯. 


AstraZeneca와 Alexion의 fit을 보자면..

 

지난 10여년간 제약-바이오 분야에서 모든 대형 제약사들이 연구개발을 집중한 두 분야를 꼽으라면 항암제와 면역질환. 서로 연관성이 없어보이던 이 두 분야는 면역항암제의 등장으로 양날의 검같은 관계로 바뀌어버렸는데... 어찌됐던 최근 트랜드는 그동안 따로 놀던 다양한 분야의 질병들 상당수를 '면역'으로 설명하려는 방향.

 

AstraZeneca의 주력분야는 항암제, 호흡기, 심혈관, 신장 질환인데 면역질환은 호흡기 질환 내에 포함될 정도로 아직은 미미하고 희귀질환 쪽으로는 특별한 포트폴리오가 없던 상황. 최근 Amgen과 공동 개발중이던 tezepelumab가 천식에서 좋은 임상시험 결과 발표. 아마도 Alexion의 포트폴리오가 합쳐지면 면역질환이  따로 뽑아져 나와 프랜차이즈 재구성이 이뤄질 듯.

 

아래 그림은 양사 합병 후 면역질환 포트폴리오.


Alexion의 파이프라인 물질들로는 Achillion에서 들여온 Factor D 저해제, Syntimmune에서 들여온 FcRn 저해제 등이 눈에 띔. 하지만 Factor D는 기존 complement 프랜차이즈와 적응증이 겹치고, FcRn은 경쟁에서 좀 뒤쳐져 있어서 글쎄.. 지켜봐야할 듯. FcRn의 경우 작용 기제 자체가 워낙 여러 자가면역 질환에 적용할 수 있어서 확장성이 커보이고 시장도 그만큼 커보여서 뒤늦게 진입해도 나쁘지는 않을 듯.

 

컨콜 자료를 보면 이제 겨우 임상 1상에 있는 C5 x 알부민 이중항체 ALXN1720의 가능성을 높게 보는듯 하고 complement 프랜차이즈의 확장성을 높게 평가하는듯.

아래 그림은 complement system이 적용될 수 있는 적응증들을 나열해 놓은건데 Alexion이 지난 20년간 네개 적응증에서 성공을 거둔 점을 고려하면 좀 너무 과장된게 아닌가 싶기도 하고, AstraZeneca는 빅빠마니깐 이정도 쯤은 동시 진행 가능하다는 포부를 보여주는 것 같기도 하고...

양사 합병 시너지를 보면...

 

일단 매출. Alexion 2019년 매출 $5B, 올해 TTM $5.9B, AstraZeneca $24.4B, $25.9B. 합치면 2019년 $29.4B, 올해 TTM $31.8B. AstraZeneca 입장에서는 매년 평균 $5B의 매출이 더해지고 Alexion의 영업이익율이 대략 40% 정도니 $39B 인수면 파이프라인이 모조리 실패한다고 쳐도 아주 망한 인수합병은 아님. 일단 Alexion 기존 제품들로 안전마진 확보하고 기존 제품 적응증 확장 및 파이프라인 제품들의 시장 진출을 노려보겠다는 전략인듯. AstraZeneca는 2024년까지 두자릿수 매출 증가로 피어그룹 동급 최강 매출 증가율을 전망하고 있음. 하지만 Evaluate Pharma의 2019년 ALXN 제품군 및 후보물질 매출전망치를 살펴보면 Soliris, Ultomiris 이외에는 유의미하게 매출 전망이 잡혀있는 놈은 아직은 없는 듯.

 

Alexion의 글로벌 매출 분포를 보면 Alexion의 이머징 마켓, 특히 중국 노출은 아직 많이 낮음. 유럽도 미국 대비 낮은 편. 이부분을 AstraZeneca의 영업망이 메워준다면 Alexion 프랜차이즈의 매출 증가가 이전보다 가속화될 수 있을 듯.

 

그리고 바이오의 심장 보스톤으로 재진입. 예전에 AstraZeneca 사이트가 보스톤에 있었던 것으로 기억하는데 찾아보니 메사츄세츠 캠브릿지의 사이트는 2016년도에 뉴로사이언스 접으면서 철수한 듯 하고 보스톤 외곽 월댐 사이트는 지도에 조차 표시되어있지 않고 satellite R&D라고 표시한걸 보니 major R&D 사이트는 아닌 듯. Alexion은 너무 과도하게 제약-바이오 기업들이 집중되버린 캠브릿지에서 조금 벗어나 최근 뜨고 있는 Seaport 쪽에 위치해있음. 보스톤 바이오 생태계로의 확장은 분명 시너지 요인. 

 

결론적으로 조금은 메가딜 치고는 조금은 boring한 딜이지만 (개인적으로는 Argenx를 샀으면 어땠을까 하는.. 같은 유럽계라 피한건지도..) AstraZeneca가 아주 밑지는 장사를 한 것 같지는 않음. 어느정도 안전마진은 확보한 딜이라 향후 AstraZeneca의 execution에 따라 딜의 성패가 갈라질 듯. 더불어 JPM 헬스케어 컨퍼런스를 앞두고 메가딜이 나온 점은 바이오 전반에 긍정적. 

 

월요일 아침 Complement system 관련 중소형 바이오텍들의 주가 향방도 눈여겨볼 점.
Apellis Pharmaceuticals (APLS)
ChemoCentryx (CCXI)
Annexon Biosciences (ANNX)
InflaRx NV (IFRX)
Akari Therapeutics (AKTX)

반응형
Posted by 약 장 수
반응형
반응형

오늘 AstraZeneca/옥스포드 대학, BioNTech/Pfizer, 그리고 중국의 CanSino까지 세 건의 코로나-19 백신 데이타 발표가 있었습니다. 우선 AstraZeneca/옥스포드 대학의 임상 1/2상 논문 내용을 정리해봤습니다. 나머지 두개는 추후에...

관련 링크

◆ 임상시험: https://clinicaltrials.gov/ct2/show/NCT04324606

 논문: https://www.thelancet.com/journals/lancet/article/PIIS0140-6736(20)31604-4/fulltext

 AZN 보도자료: https://www.astrazeneca.com/content/astraz/media-centre/press-releases/2020/covid-19-vaccine-azd1222-showed-robust-immune-responses-in-all-participants-in-phase-i-ii-trial.html

 

 

백신 후보물질

  • 프로젝트명: ChAdOx1 nCoV-19/AZD1222
  • 항원: SARS-CoV-2spike 단백질
  • 벡터: 침팬치 아데노바이러스 백터 백신 (chimpanzee adenovirus-vectored vaccine)
  • , 아데노바이러스 (감기 바이러스)의 껍질에 SARS-CoV-2spike 단백질이 발현되도록 만든 바이러스로 바이러스가 몸에 들어가서 증폭은 못함.

 

 

임상시험 디자인

  • 임상 1/2
  • single-blinded, randomised, multi-centre
  • 근육주사
  • 18-55세 성인 1090
  • 코로나-19 검사를 해서 스크리닝을 했지만 전원에게 다 하지는 못한 모양. 모집인원중 Spike 단백질에 대한 항체가 접종전에 높은 수준으로 존재하는 자원자들도 있다고 함
  • 영국의 6개 사이트

4개의 그룹으로 나뉘어 진행 – 콘트롤로 수막구균 수막염 백신 (MenACWY) 사용

  • 그룹 1 (n=88): 5x10^10vp 한번 접종
  • 그룹 3 (n=10): 5x10^10vp 4주 간격 두번 접종
  • 그룹 2 (n=412)/4 (n=567) : 확장 그룹. 다시 자잘하게 나눠짐. 5x10^10vp 한번 접종/ 5x10^10vp 8주 간격 두번 접종/ 5x10^10vp 접종 8주후 2.5x10^10vp 부스터 접종/ 5x10^10vp 한번 접종 + Paracetamol (진통제, 이 그룹은 나중에 추가)

 

참가자 인종 분포

부작용

  • 가장 흔한 부작용: 피로 (70~71%), 두통 (61~68%), 근육통 (48~60%), 권태감 (48~61%), 오한 (27~56%), 발열감 (36~51%)
  • 심각한 부작용 (SAE)는 없었으며 부작용은 콘트롤 대비 모두 P<0.05로 접종 관련. 진통제 선 투여의 경우 부작용이 줄어듬.

 

접종후 첫 7일 국부 부작용

접종후 첫 7일 전신 부작용

두번 접종 그룹 접종후 첫 7일 국부 및 전신 부작용

 

결합항체

  • 아래 그림은 Spike 단백질에 대한 결합 항체
  • 한번 접종 그룹: 28일차에 피크. 이후 56일차까지 유사한 수준 유지
  • 두번 접종 그룹 (10): 56일차 수준은 한번 접종 그룹의 약 4배 정도.
  • 수용체 결합 부위에 대한 항체도 유사한 패턴을 보임 (supplementary에 있음)
  • 대체로 회복환자보다 항체 수준이 낮아 보임. 회복 환자들을 보면 대부분이 경증. 중증 환자의 항체 수준과 비교해 보면 확실히 낮음 (그림 최 우측 그래프)

 

중화항체 – 생바이러스 테스트

  • 세가지의 생바이러스를 이용한 방법과 가짜 바이러스를 이용한 총 네가지 방법으로 테스트. 각각의 방법이 뭔지는 몰라도 됨. 생바이러스를 이용한 테스트 방법의 경우 시간이 많이 걸려서 전체 참여자는 다하지 못함.
  • 한번 접종의 경우 회복 환자 대비 항체 수준이 낮음. 두번 접종은 비슷한 정도.

한번 접종군 두번 접종군 일차 그림 4
Marburg VN assay 62% (23/37) 100% (10/10) 56일차 A, B
PHE MNA80 assay 91% (32/35) 100% (9/9)
C, E, F
PHE PRNT50 assay 100% (35/35)
28일차 D

 

  • 가짜 바이러스 (Spike 단백질을 껍질에 발현시키는 다른 바이러스)를 이용한 테스트 방법도 이용. 이 경우는 직접 할 수 있고 BSL4가 필요하지 않아서 테스트 수가 많음.
  • 그림의 35, 42일차는 두번 접종군. 역시나 두번 접종을 해야 회복 환자와 유사한 수준의 중화항체를 보임.

 

T세포 반응

 

  • 직접 T 세포 카운트를 하는 대신 간접 방법인 인터페론 감마 반응을 측정. Spike 단백질의 일부를 터여한 후 인터페론 감마가 어느 정도 나오는지를 측정함.
  • 한번 접종이나 두번 접종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 듯. 발현 수준도 그리 높지 않음.

 

결론

  • 과거 메르스에 대해 한번 접종만으로 충분한 항체 반응을 일으켰던 방법을 사용. 그러나 코로나-19에 대해서는 한번만으로는 안되는 듯 보임. 이부분이 애초의 셀링 포인트였음.
  • 중화항체 반응, T세포 반응 모두 그리 높은 수준은 아닌 듯. 어쨌든 두번 접종시 비록 10명의 데이터지만 모두에게서 중화항체가 생성된 점은 긍정적.
  • 모더나, 비온택처럼 중화항체가 피크를 이루고 줄어드는 듯한 모습은 크게 보이지 않음.
  • 근데 따지고 보면 긍정적인 데이타는 모두 10명에게서 나온 것. 환자수를 늘려서 진행한 데이타를 볼 필요가 있어보임.
  • 부작용도 진통제를 포함한 그룹을 추후 따로 만들 정도면 꽤 있어 보임.
  • 모더나의 경우처럼 백인만 많이 포함된 점도 좀…
  • 논문도 데이타 제시 방식이 좀 깔끔하지 못하고 술술 읽히는 논문은 아녔음
  • 결론적으로 애초의 기대만큼 대단한 백신은 아닌 것 같음. 오늘 AZN 주가 움직임이 잘 설명해 주는 듯.

 

 

약장수 텔레그램

Moderna 백신 후보물질 mRNA-1273 임상 1상 결과 논문 발표

Moderna 백신에서 보이는 몇가지 한계점들

Inovio (INO) 코로나-19 백신 후보물질 임상 1상 중간 결과 발표

BioNTech/Pfizer 코로나-19 백신 후보물질 임상 1/2상 중간 결과 발표

반응형
Posted by 약 장 수
반응형
반응형

뉴욕 타임즈 보도에 의하면 백악관에서 Operation Warp Speed에 포함될 최종 다섯개의 프로그램을 선정했다고 합니다.

 

 

선정된 다섯 프로그램은 아래와 같습니다.

 

  1. Moderna (MRNA): mRNA-1273 임상 1상, 2상 동시 진행 중. 3상 조만간 시작.
  2. AstraZeneca (AZN)/Oxford University: AZD1222 임상 1/2상 진행 중. 6월중 첫 데이타 공개.
  3. Johnson & Johnson (JNJ): 9월에 1상 시작 예정.
  4. Merck (MRK): 아직 전임상. 공개된 일정 없음.
  5. Pfizer (PFE)/BioNTech (BNTX): BNT162 임상 1/2상 진행중.

위 다섯 프로그램에 대해서는 현재까지 지원된 자금에 추가로 CARES Act에 의거해서 자금이 지원될 예정이라고 합니다. MRNA, AZN/Oxford, JNJ에 지금까지 지원된 금액이 $2.2B라고 하네요.

 

프로그램당 3만명을 동원해서 임상 3상을 고속으로 진행하고, 제조는 그 이전부터 시작해서 결과가 나오면 바로 접종할 수 있도록할 계획이라고 합니다. 

 

올해 안에 개발을 완료하겠다고 했으니 위 다섯 중 J&J, Merck는 불가능해 보이고 나머지 셋 중에 어쨌든 뭔가가 하나 나오겠네요.

 

오늘 시장이 랠리를 하는 가운데 바이오텍은 홀로 하락했는데요, 위에 포함된 종목들은 큰 폭의 움직임이 없었던 반면 포함되지 못한 소형 백신 개발 기업들의 주가는 큰 폭으로 하락했습니다.

 

포함되지 못한 주요 기업들을 보면, Sanofi와 백신 명가 GSK, Translate Bio가 공동으로 진행하는 프로그램이 포함되지 않고 뒤늦게 개발을 시작한 Merck가 포함된 점이 가장 큰 의외였습니다. 특히나 Sanofi는 미 보건복지부 산하 BARDA로부터 자금을 지원받는 프로그램인데도 말이죠. 아마도 Tranlate Bio 역시 mRNA 백신인데 이미 mRNA 백신인 모더나와 Pfizer의 백신이 임상에 진입해 있기 때문이 아닐까 싶네요.

 

임상시험을 시작한 기업들 가운데에는 중국 기업들을 제외하면 Novavx와 Inovio가 포함되지 못했습니다.

 

이밖에 Novartis (NVS)가 포함되지 못했고 마이너 플레이어들로는 Altimmune (ALT), Arcturus Therapeutics (ARCT), Vaxart (VXRT), Vir Biotechnology (VIR), Soligenix (SNGX), Dynavax (DVAX) 등이 포함되지 못했습니다. 

 

아래는 위 기업들의 오늘 하루 (6/3) 주가 변동 및 임상시험 진행 단계, 데이타 발표 일정입니다.

 

Symbol Name Gain 시총($) OWS 단계 데이타 발표
S&P500 S&P 500 Index 1.36%



Nasdaq Nasdaq Composite 0.78%



바이오텍 (XBI) SPDR S&P Biotech -1.53%



바이오텍 (NBI) NASDAQ Biotechnology Index -1.23%



MRNA Moderna Inc 0.03% 23.3B 포함 1, 2 15/19 발표
AZN AstraZeneca plc 0.51% 72.2B 포함 1/2 6
JNJ Johnson & Johnson 0.27% 391.6B 포함 9월 시작 예정
MRK Merck & Co., Inc. 1.51% 207.1B 포함 전임상
PFE Pfizer Inc. 0.00% 200.9B 포함 1/2 * 첫 코호트 접종 5월초 완료
BNTX BioNTech SE - ADR -2.33% 11.7B 포함 1/2
GSK GlaxoSmithKline plc 0.21% 211.3B 제외 전임상
SNY Sanofi SA -0.62% 62.2B 제외 전임상
TBIO Translate Bio Inc -18.64% 1.0B 제외 전임상
NVS Novartis AG 0.88% 211.4B 제외 하반기 시작 예정
NVAX Novavax, Inc. -10.86% 2.6B 제외 1 7
INO Inovio Pharmaceuticals Inc -13.32% 2.0B 제외 1. 2/3상 여름 시작 6월말
ALT Altimmune Inc -6.93% 129.3M 제외 1/2IND 승인
ARCT Arcturus Therapeutics Holdings Inc -10.13%
제외 전임상
VXRT Vaxart Inc -6.16% 203.3M 제외 전임상
VIR Vir Biotechnology Inc -9.75% 3.9B 제외 전임상
DVAX Dynavax Technologies Corporation -4.46% 728.4M 제외 7월 시작 예정

 

 

코로나-19 백신 개발을 통해서 본 백신 플랫폼

Moderna IPO

Moderna Inc (MRNA) - 밸류에이션에 대해

Moderna Inc (MRNA) - 유상증자, 몬세프 슬라위

Moderna Inc (MRNA): STAT news

Moderna CEO가 언론 인터뷰로 주가 올리고 주식 팔았다???

Vir Biotechnology (VIR)

 

 

 

 

반응형

'Covid-19' 카테고리의 다른 글

Weekly COVID-19 Review 20200612  (0) 2020.06.14
Weekly COVID-19 Review 20200605  (0) 2020.06.07
Weekly COVID-19 Review 20200529  (0) 2020.05.31
Weekly COVID-19 Review 20200522  (0) 2020.05.24
Weekly COVID-19 Review 20200515  (0) 2020.05.17
Posted by 약 장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