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uy me a coffee
'기타' 카테고리의 글 목록 :: 미국 제약-바이오 주식 투자
반응형
반응형

최근 게임스탑 주식(GME)을 둘러싼 개미들과 기관의 머니게임 양상, 숏스퀴즈를 동반한 페니스탁의 폭등 등을 보면서 여러가지 생각이 든다. 상승장의 끝물에 나온다는 현상들 - 필자처럼 주식과는 상관없어 보이던 사람들이 주식을 떠들어대면서 종목 추천을 해대는 현상은 진작부터 있어왔고, 최근에는 섹터와 종목이 돌고 돌아 페니스탁이 폭등하는 현상 마저 보이지만 아직은 이번 상승장이 끝났다는 생각은 잘 들지 않는다. 

로빈훗의 파괴적 혁신으로 인해 그 어느 때보다도 주식거래가 쉬워진 요즘이다. 과거 닷컴 버블 시기에 주식시장에 참여할 기회는 없었지만, 당시 요즘 처럼 주식 거래가 손쉽지 않았으리란 것은 경험하지 않았어도 알 수 있다. 로빈훗이 나오기 전에, HTS를 사용하기 전에 나역시 주식거래에 불편함도 많고 비용 부담도 있었으니깐. 옵션같은건 꿈에도 생각 안해봤었다.

모니터를 10개 넘게 주렁주렁 달고 트레이딩하는 전문가들 상대로 개미들이 할 수 있는 것이 많지 않던 시절과 지금은 확실히 많은 것이 달라졌다. 코로나-19로 밀레니얼 세데를 넘어 Gen Z까지 트레이딩에 동참하고, 중학생이 몇백만원 수익 인증하는 사진을 올린 것도 봤다. 다른일 하다가 잠깐 핸드폰 들여다보고 거래를 체결할 수 있는 시대다. 주식시장에 새로 참여한 젊은 세대는 주식 거래를 게임처럼 즐기는 듯하다. 기껏해야 도박 정도로 접근하던 기성 세대와는 좀 결이 다른 느낌이다.


2020년 수많은 기관들의 수익율이 처참했던 것에서 알 수 있듯 기존 월가의 문법대로라면 2020년 3월 폭락장 이후 주식시장이 이렇게까지 달리지 못했을거다. 최근 게임 스탑을 둘러싼 개미들과 기관의 전쟁은 주식시장을 달라진 문법으로 접근하는 새로운 세대와 월가 문법의 충돌처럼 느껴진다. 이 또한 버블의 한 단면일 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버블을 넘어 시대가 달라지는 것은 아닌가하는 생각도 든다. 시간이 더 지나보면 알 수 있겠지.

반응형
Posted by 약 장 수

Lithium ETF로 돈 못벌기

반응형
반응형

연휴기간 큰 뉴스도 없고해서 바이오랑 별상관 없는 가벼운/부끄러운 포스팅 하나.


올해 전기차를 비롯 신재생 에너지 관련 주식들이 뜨거웠다.


ETF 중에는 2차 전지의 주원료로 사용되는 lithium 관련 기업들을 모아놓은 LIT 가 YTD로 두배가 넘게 상승. 아마도 LIT로 돈 좀 버신 분들 많을 듯.


하지만 필자는 LIT로 닥짓을 했으니...

 

  • 2018년 1월 30일 $37.50 매수
  • 2020년 9월 4일 $38.60 매도
  • 보유기간 948일
  • 수익율 2.9%

 

차트로 보면 아래와 같다. 두개의 화살표는 매수와 매도 시점.

LIT는 2016~2017 2년간 가장 수익율이 좋았던 ETF중 하나.
하지만 리튬 공급이 수요를 앞지른 2018년부터 길고긴 하락세로 들어섬. 


2016년부터 2년간의 상승장이 마무리되는 2018년초에 들어가서 3년여를 물려서 존버.
본전욕구에 의해 양전하자 바로 매도.
근데 내가 팔고나면 꼭 오른다고 했던가. 매도 후 3개월만에 60%가 올라버림.
뭐 비슷한 경험하신 분들 많을 듯...


3년을 버텼는데 3개월을 못버티다니 ㅠㅠ


그래도 뭔가 배운점은 있어야 남는것이 있겠지.

  • 시클리컬 산업은 사이클을 잘 타야한다.
  • 많은 분들이 공부하기 싫으면 ETF를 사라고 하는데 그것도 꼭 답은 아닌 듯. 
  • 정말로 공부하기 싫어서 ETF를 산다면 지루하지만 장기 우상향하는 놈으로 고르자. LIT는 아래 그림에서 보듯 사이클을 심하게 탄다.
  • 지루한게 싫다면 어쩔수 없다. 잘 모르는데 공부하기도 싫으면 건드리질 말자.
  • 진입 가격이 중요하다. 아마도 $20대 정도로만 싸게 샀으면 별문제 없이 버텼을 것.

 

반응형
Posted by 약 장 수
반응형
반응형

약 2주 전에 텔레그램 채널 운용에 관한 설문조사를 했음.

당시 약 1850명 정도가 채널을 구독중이었고 이중 212명이 설문에 응해주심. 응답율 약 11%.

 

거주지역은?

거주지역은 한국이 82.5%, 미국이 13.7%로 한국 거주하시는 분들이 압도적으로 많았음.

미국 주식을 시작한지는?

미국 주식 경력은 1년 이내인 분들이 약 53%로 절반 이상.

주식 평균 보유 기간

이 부분은 질문을 잘못한 것 같은데 미국 주식의 평균 보유 기간을 알고 싶었음. 근데 그냥 주식이라고 해버려서 아마도 한국 주식 보유 기간까지 포함이 됐을 듯. 대략 3/4 정도가 1년 이내로 미국 기준으로 보자면 단기 스윙 트레이드가 대부분.

관심있는 미국 주식 섹터

이 질문 역시 중복 선택이 안되서 의미가 작아졌음. 어쨌든 1픽으로 뽑은 섹터들을 보자면 건강관리 (30%)와 더불어 정보기술 (25.2%)이 압도적. 섹터 전부 (17.1%)/무관 (14.8%)도 상당히 많음.

제약-바이오 투자는

모멘텀 투자 41.2%, 대형 제약사 26.1%, 소형 바이오텍 16.6% 순.

본 채널에 바라는 점은

이 문항에 대해 요구사항은 그리 많지 않았는데 좀 어렵다는 의견이 대체로 가장 많았음.

 


 

이상의 설문 조사를 바탕으로 블로그와 텔레그램 운용에 대해 미국주식/바이오 주식에 익숙치 않은 분들의 눈높이에 맞도록 조금 방향을 바꿔볼 생각. 시간이 허락하는대로 미국 바이오 투자를 시작하는 분들을 위한 글을 시리즈로 써볼 생각. 용어가 어려운 것은 필자도 어쩔 수 없음. 어느 분야나 마찬가지겠지만 그 분야 종사자가 아닌 이상 어느 정도는 스스로 공부를 하는 수 밖에는 없음.

 

아래는 예전 네이버 블로그를 운영할 때 적었던 글. 좀 오래된 글이고 다시 읽어보니 생각이 바뀐 부분들도 있어서 수정이 좀 필요하지만, 미국 바이오 입문자들은 일단은 아래 글들을 참조해보면 좋을 듯.

 

바이오텍 투자 – 종류별 접근 : 네이버 블로그 (2018/03/17)

 바이오텍 투자 – 성장하는 기업 고르기 (1) : 네이버 블로그 (2018/04/18)

 바이오텍 투자 – 성장하는 기업 고르기 (2) : 네이버 블로그 (2018/04/18)

 

 

반응형
Posted by 약 장 수
반응형
반응형

Marketwach에서 1분기에 가장 높은 매출 증가율을 보인 S&P500 기업 12개를 정리했습니다.

 

 

These 10 S&P 500 companies increased sales faster than Amazon in a coronavirus-tainted quarter

Big winners included Vertex, Netflix, AMD and five exchange operators.

www.marketwatch.com

 

5/4 현재 S&P500 기업들 중 273개 기업이 실적을 발표했는데, 다들 아시다시피 코로나-19로 이번 분기 실적은 다들 엉망입니다. 이 가운데에 높은 매출 증가율을 보인 기업들이 있는데 그 리스트는 아래와 같습니다. 코로나-19로 수혜를 본 대표적인 기업 아마존이 11번째로 이름을 올리고 있고 그 위에 10개의 기업이 있습니다.

 

COMPANY TICKER 산업군 매출증가율 (Q/Q) 2020년 수익률 2019년 수익률
Vertex Pharmaceuticals Inc. VRTX Biotechnology 76.90% 21% 32%
Cboe Global Markets Inc. CBOE Securities exchanges 52.90% -21% 24%
Advanced Micro Devices Inc. AMD Semiconductors 40.40% 15% 148%
MarketAxess Holdings Inc. MKTX Securities exchanges 35.70% 21% 81%
ServiceNow Inc. NOW Information Technology Services 32.60% 26% 59%
Nasdaq Inc. NDAQ Securities exchanges 30.20% 0% 34%
CME Group Inc. Class A CME Securities exchanges 29.00% -14% 10%
Intercontinental Exchange Inc. ICE Securities exchanges 28.70% -3% 24%
Netflix Inc. NFLX Cable/Satellite TV 27.60% 32% 21%
Prologis Inc. PLD Real-estate investment Trusts 26.70% -2% 56%
Amazon.com Inc. AMZN Internet Retail 26.40% 25% 23%
Intel Corp. INTC Semiconductors 23.50% -3% 31%

 

각각을 살펴보면, 가장 높은 매출 상승을 기록한 종목은 Vertex Pharma입니다. 지난해 말에 출시한 낭포성 섬유증 치료제 Trikafta가 출시 두분기만에 분기매출 $900M을 찍으면서 매출 증가율 77%를 기록했습니다.

 

리스트에는 증권 거래소가 무려 다섯개 (CBOE, MKTX, NDAQ, CME, ICE)가 순위에 이름을 올리면서 지난 분기 변동성이 얼마나 컸는지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밖에 반도체/데이타 센터에 관련된 반도체 기업 AMD와 Intel, 데이타센터물류 리츠 Prologis가 순위권에 이름을 올렸고, 기업들이 재택근무로 전환하면서 수혜를 본 ServiceNow, 집에 머무르는 시간이 많아지면서 수혜를 본 Netflix가 이름을 올렸습니다.

 

종합해보면 신제품이 빅 히트를 친 Vertex Pharma 한 종목을 제외하면 코로나-19로 인한 2월말/3월초 변동성 때문에 수익이 증가한 증권거래소들과 역시 코로나-19로 인한 lockdown 때문에 집에 머물고 재택근무하면서 수혜를 본 종목들로 top 12가 구성됐네요.

 

아래는 Vertex의 1분기 실적 요약입니다. Vertex는 Biogen을 제끼고 Biotech 시가총액 순위 3위에 올랐습니다 (1. Amgen, 2. Gilead). 오랜기간 Big 4중 하나였던 Biogen은 Regeneron한테도 밀려서 5위로 내려갔습니다. 

 

Trikafta 출시는 낭포성 섬유증 시장을 독점하고 있던 Vertex에게 날개를 달아줬습니다. 기존 Kalydeco, Orkambi, Symdeko가 전체 낭포성 섬유증 환자의 50%까지 커버할 수 있었던데 반해 Trikafta의 출시로 90%까지 커버가 가능해졌습니다. 딱히 경쟁업체도 없는 실정입니다. 모두 소형 바이오텍들인 경쟁업체들 중 임상 3상에 돌입한 기업조차 없는 실정이죠. 아마도 경쟁기업의 의약품이 승인 받는것보다 Vertex 의약품의 특허 만료가 먼저되지 않을까 싶네요. 

 

 

반응형
Posted by 약 장 수
반응형
반응형

증권사 공식/애널리스트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키움증권 투자전략/시황 담당 서상영

키움증권 해외선물 톡톡

키움증권 리서치센터 반도체/디스플레이 산업 전문 채널

미래에셋대우 글로벌 인터넷 정용제

미래에셋대우 Global Tech 류영호

미래에셋대우 글로벌SW/콘텐츠 김수진

NH 리서치 [제약/바이오]

허재환 유진증권 전략

 

 

개인

베가스풍류객 미국주식 이야기

미국주식과 투자이야기

해외주식 뉴스공장

미국 제약-바이오 주식/약장수

 

 

 

 

반응형
Posted by 약 장 수
반응형
반응형

오늘 텔레그램을 업데이트하라고 해서 했더니 한글 글자체가 아주 요상하게 바뀌어버렸네요.

도저히 읽을 수가 없어서 인터넷을 뒤져서 하라는대로 해봤는데 실패.

뭐가 문제일까 곰곰히 생각해보다가,

제 컴퓨터는 엉어가 기본 언어로 되어 있는데 그 때문일거라 생각이 들었습니다.

 

일단 방법은 아래 링크에서 가져왔습니다.

https://tttsss77.tistory.com/87

 

텔레그램 폰트(글꼴) 변경

텔레그램 폰트(글꼴) 변경 본 글에서는 윈도우즈 10에 설치된 텔레그램 메신저의 글꼴(폰트)을 변경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참고로 텔레그램 2.1.1 버전 이후부터는 본 글의 제일 아래쪽에 작성된 방법을 적..

tttsss77.tistory.com

 

위 링크에는 두가지 방법이 있는데 이 둘을 섞어서 해야함.

 

일단 위 링크의 첫번째 방법 1~3까지 스탭 실행. 요약하면 다음과 같음.

 

1. FontMod.dll, FontMod.zip 다운받기

   (링크를 클릭한 후 우측 상단 아래로 향한 화살표를 눌러 다운로드 받으세요)

 

2. FontMod.zip에서 FontMod.yaml 파일 추출 (추출해서 수정한 파일 링크는 아랫쪽에 있음)

3. FontMod.dll, FontMod.yaml 파일을 텔레그램 데스크탑 설치 폴더로 복사

 

  텔레그램 데스크탑 설치 폴더로 가는 방법은 

  윈도우키+R 을 누르면 Run 메뉴가 나옴. 이곳에 

  %APPDATA%\Telegram Desktop 

  를 붙여 넣고 OK 하면 됨.

4. FontMod.yaml -> winmm.dll로 파일명 변경 

 

 

그 다음은 위 링크의 두번째 방법 "2.1.1 버전 이후에서 글꼴 변경하는 방법"을 따라함.

 

5. 위 텔레그램 데스크탑 폴더에 있는 log.txt 파일을 Notepad로 오픈.

   오픈하면 폰트에 대한 로그가 포함되어 있음.

6. FontMod.yaml 이라는 파일을 메모장 (Notepad)으로 오픈. 

   방법은 마우스 우클릭 > Open with > Notepad 선택

   FontMod.yaml을 열면 아래와 같은 문장들이 나옴.

  

7. 6번 그림 빨간 박스친 부분에 5번 그림에 열거한 모든 폰트 이름을

   동일한 포멧으로 원하는 한글 폰트로 바꿔주고 저장.

   아래는 변경 후. 

    혹시 변경된 파일 필요한 분 있으면 여기서 다운 받으시길.

    여기서 가장 중요한 포인트는 한글 폰트명을 한글 (맑은 고딕)이 아니라 영어로 적어야 한다는 점

    이건 아마도 제 윈도우즈 기본 언어가 한글이 아닌 영어로 설정되어 있어서 그런듯 합니다.

    

8. 텔레그램 데스크탑을 껐다가 켜거나 컴퓨터를 리부팅 하시면 적용이 되어있음.

    텔레그램은 메뉴에 끄는게 없어서 강제 종료해야함.

    Ctrl + Alt + Del 누른 후 Taks Manager 선택

    Taks Manager에서 Telegram Desktop을 선택 후 우측 하단 End Task를 누르면 강제 종료됨.

 

 

   윈도우즈 10에서 기본으로 제공되는 한글 폰트는

 

     Gulim

     Gungsuh

     Batang

     Malgun Gothic 

 

   정도인 것 같습니다.

 

 

반응형
Posted by 약 장 수

4/21 하락을 보면서

반응형
반응형

이틀 연속 유가가 폭락하면서 미국 시장은 유가와 함께 이틀 연속 하락했습니다. 많은 뉴스 매체들에서는 온통 유가 이야기 뿐입니다.  

 

그런데 말입니다. 어제의 하락과 오늘의 하락은 조금 다른 양상을 보여줬습니다.

 

아래는 어제 (4/20)와 오늘 (4/21) 각 섹터별 변동률입니다. 어제는 유가 하락으로 인한 에너지 섹터 및 이와 연관된 소재 및 산업 섹터, 그리고 백화점 Neiman Markus의 파산신청설로 인한 리츠 섹터가 하락을 주도한 하루였습니다.

그런데 오늘 하락은 에너지 섹터와는 무관한 기술 섹터가 이끌었습니다. 에너지는 오히려 섹터들 가운데 가장 선방했구요. 저는 이점이 더 신경이 쓰입니다.

언론은 오늘 기술 섹터의 하락을 전일 장마감 후 있었던 IBM의 실적 보고에서 찾고 있습니다. IBM의 컨퍼런스 콜에서 고객들이 현금 확보 등을 위해 3월 마지막 두주 동안 소프트웨어 사용을 중단했다는 (저는 4월달 섭스크립션을 안했다고 해석을 했습니다) 내용입니다. 

 

맞습니다. 소프트웨어. 클라우드.

 

전 IBM 주주도 아니고 IBM에 큰 관심을 가져본 적도 없어서 사실 IBM이 어떤 소프트웨어 사업을 하는지 잘 모릅니다. 아마도 마소의 오피스 처럼 비즈니스에 없어서는 안될 소프트웨어가 아닐 수도 있을겁니다.

 

3월말 급격한 패닉셀이 끝나고 2주간의 반등이 나오는 동안 시장을 주도했던 종목들은 재택근무로 수혜를 입었다고 생각되어온 클라우드 서비스 관련 소프트웨어 종목들과 클라우드 서버에 들어갈 반도체 제조 업종들이었습니다. 이 기술주들은 비단 이번 이번 반등장에서 뿐만 아니라 지난 10년간 이어온 상승장의 주도주이기도 했습니다. 

 

그런데, IBM의 컨콜에서는 그동안 우리가 Covid-19으로 인한 영향을 덜 받았을 것이라 생각했던 클라우드 소프트웨어들도 영향을 받았을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줬습니다. 그리고 이번 하락장 이후 여전히 주도주일 것으로 생각되는 클라우드 기반 소프트웨어 업종을 중심으로 오늘 기술주의 하락이 나왔습니다. 단순히 그저 급하게 반등한 만큼 내려갈 때가 됐고, 더 많이 올라간 종목들 위주로 차익실현 매물이 나온것일 수도 있습니다. 일시적인 현상이고 5월이나 6월에 비즈니스가 재개되면 제자리로 돌아갈지도 모릅니다.

 

그렇지만...

 

아직은 1분기 실적이라 그 정도가 미미하겠지만, 만약에 이런 움직임이 이번주 아마존 (4/23), 다음주 알파벳 (4/28), 마소 (4/29), 그다음주 알파벳 (5/3)의 실적발표에서도 언급된다면.. 주도주가 꺾이게 됩니다. 머릿속 한구석에는 넣어 놓고 신경을 좀 써야할 것 같습니다. [알파벳의 실적발표는 4/28입니다. 수정했습니다.]

 

아, 그리고 오늘 트럼프가 2개월간 이민을 유예하겠다고 하면서 그 타겟이 취업비자로 들어와서 영주권 신청하는 것이 목적인 사람들이라고 했는데... 이게 딱 IT, Bio 등 첨단 기술 분야의 인력들입니다. 두달 유예 정도로 끝나지 않고 안그래도 점점 어려워지는 미국 이민이 막힌다면...

 

주식 초보의 괜한 걱정들입니다.

반응형
Posted by 약 장 수
반응형
반응형

※ 스태그플레이션(stagflation)은 스태그네이션(stagnation)과 인플레이션(inflation)의 합성어로, 거시 경제학에서 고 물가상승(인플레이션)과 실직, 경기 후퇴(스태그네이션)이 동시에 나타나는 경우를 뜻한다. 정도가 심할 경우 “슬럼프플레이션”이라고도 한다. 

이 경우 총공급이 줄어들어 물가가 오르고 GDP가 후퇴하며 이 결과로 투자 위축이 발생하여 실업률이 오르게 된다. 

역사적으로는 1970년대 중동국가가 석유를 자원무기화 하면서 석유공급을 인위적으로 감소했고, 이로 인해 원유 공급가격이 급등하면서 전반적인 인플레이션이 발생했고, 인플레이션 부담으로 경제침체가 오면서 실업률이 높아진 경험이 있다. (위키피디아)


Smithfield Foods 사우스 다코타주 Sioux Falls에 있는 미국 최대 돼지고기 공장 직원들 코로나 감염으로 무기한 폐쇄. Tyson Foods, Cargill, JBS USA 등 여타 고기 공장 업체들 타주의 공장 이미 폐쇄했음. 미국 농장들 최대 판매처가 문닫는 바람에 생산자 가격은 폭락, 소비자 가격은 상승할 듯.

https://www.cnbc.com/2020/04/12/smithfield-shutting-us-pork-plant-indefinitely-warns-of-meat-shortages-during-pandemic.html


우크라이나 밀 수출 약정된 쿼타가 다 차가고 있어서 수출 금지 고려중. 19/20년 시즌 이미 18밀리언톤 수출했고 6월까지 2밀리언톤의 쿼타가 남아있음. 

https://www.reuters.com/article/us-health-coronavirus-ukraine-grains-exc/exclusive-ukraine-ready-to-ban-wheat-exports-if-necessary-official-idUSKCN21X1CA?feedType=RSS&feedName=businessNews


미국 홍수에 대한 미국주식전도사님의 경고

https://dstudios-official.blogspot.com/search?q=%ED%97%88%EB%A6%AC%EC%BC%80%EC%9D%B8


사막 메뚜기 이동 경로에 대한 미국주식전도사님의 경고 

https://dstudios-official.blogspot.com/search?q=%EB%A9%94%EB%9A%9C%EA%B8%B0


Sonoco Products Company 골판지 가격 인상. 이 회사가 패키징 비즈니스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잘 모르겠지만 요즘 무엇이든 딜리버리를 시켜야만 하는 상황.

https://seekingalpha.com/news/3560811-sonoco-increases-recycled-paperboard-price-to-support-margins?utm_source=feed_news_all&utm_medium=referral


경알못인 내가 보기에도 이런 헤드라인들이 가리키는 것은 소비자 물가의 인상인 것 같다. 유가는 폭락하고 있지만 아무도 쓰는 사람 없으니 이건 열외. 렌트비도 제대로 못내고 있는 미국인들이 수두룩한 마당에, 물가까지 튀어오르면? 

 

지금같은 상황에 주가가 달려주는게 신기하다.

 


딴지 거는 분이 있어서... 지수상 물가 상승을 논하고자 하는 것이 아님. 

소비자 물가 지수에 대해서는 베풍님 블로그에 잘 설명되어있음.

https://www.vegastooza.com/search?q=%EB%AC%BC%EA%B0%80

 

아래 그림에서 보면 CPI를 구성하는 분야중 경제가 올스톱 되어있는 현재

수요가 있는 분야: 음식료, 주거, 의료비, 교육/통신

수요가 없는 분야: 의류, 운송 (에너지), 레크리에이션

 

수요가 없는 분야의 물가는 하락하겠지만 수요가 살아있는 분야는 물가가 상승할 가능성이 높음. 

주거비는 상승하지 않겠지만 소득이 줄어들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상승.

식료품은 위에 언급. 더불어 안그래도 늘 직접가서 사오던 식료품을 온라인으로 배달시키니 같은 물건도 비싸게 사야함.

의료비는 위에 언급안했지만 인도가 락다운 연장을 언급했고, 그 이전부터 필수 의약품의 수급에 문제가 있어왔음.

 

오르고 내리는걸 종합하면 CPI가 상승할 가능성은 높지 않아보이지만

실생활에서 느끼는 물가는 상당히 오를듯. 지수와 현실의 괴리랄까.

 

 

반응형
Posted by 약 장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