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uy me a coffee
'AZD1222' 태그의 글 목록 :: 미국 제약-바이오 주식 투자
반응형
반응형

오늘 AstraZeneca/옥스포드 대학, BioNTech/Pfizer, 그리고 중국의 CanSino까지 세 건의 코로나-19 백신 데이타 발표가 있었습니다. 우선 AstraZeneca/옥스포드 대학의 임상 1/2상 논문 내용을 정리해봤습니다. 나머지 두개는 추후에...

관련 링크

◆ 임상시험: https://clinicaltrials.gov/ct2/show/NCT04324606

 논문: https://www.thelancet.com/journals/lancet/article/PIIS0140-6736(20)31604-4/fulltext

 AZN 보도자료: https://www.astrazeneca.com/content/astraz/media-centre/press-releases/2020/covid-19-vaccine-azd1222-showed-robust-immune-responses-in-all-participants-in-phase-i-ii-trial.html

 

 

백신 후보물질

  • 프로젝트명: ChAdOx1 nCoV-19/AZD1222
  • 항원: SARS-CoV-2spike 단백질
  • 벡터: 침팬치 아데노바이러스 백터 백신 (chimpanzee adenovirus-vectored vaccine)
  • , 아데노바이러스 (감기 바이러스)의 껍질에 SARS-CoV-2spike 단백질이 발현되도록 만든 바이러스로 바이러스가 몸에 들어가서 증폭은 못함.

 

 

임상시험 디자인

  • 임상 1/2
  • single-blinded, randomised, multi-centre
  • 근육주사
  • 18-55세 성인 1090
  • 코로나-19 검사를 해서 스크리닝을 했지만 전원에게 다 하지는 못한 모양. 모집인원중 Spike 단백질에 대한 항체가 접종전에 높은 수준으로 존재하는 자원자들도 있다고 함
  • 영국의 6개 사이트

4개의 그룹으로 나뉘어 진행 – 콘트롤로 수막구균 수막염 백신 (MenACWY) 사용

  • 그룹 1 (n=88): 5x10^10vp 한번 접종
  • 그룹 3 (n=10): 5x10^10vp 4주 간격 두번 접종
  • 그룹 2 (n=412)/4 (n=567) : 확장 그룹. 다시 자잘하게 나눠짐. 5x10^10vp 한번 접종/ 5x10^10vp 8주 간격 두번 접종/ 5x10^10vp 접종 8주후 2.5x10^10vp 부스터 접종/ 5x10^10vp 한번 접종 + Paracetamol (진통제, 이 그룹은 나중에 추가)

 

참가자 인종 분포

부작용

  • 가장 흔한 부작용: 피로 (70~71%), 두통 (61~68%), 근육통 (48~60%), 권태감 (48~61%), 오한 (27~56%), 발열감 (36~51%)
  • 심각한 부작용 (SAE)는 없었으며 부작용은 콘트롤 대비 모두 P<0.05로 접종 관련. 진통제 선 투여의 경우 부작용이 줄어듬.

 

접종후 첫 7일 국부 부작용

접종후 첫 7일 전신 부작용

두번 접종 그룹 접종후 첫 7일 국부 및 전신 부작용

 

결합항체

  • 아래 그림은 Spike 단백질에 대한 결합 항체
  • 한번 접종 그룹: 28일차에 피크. 이후 56일차까지 유사한 수준 유지
  • 두번 접종 그룹 (10): 56일차 수준은 한번 접종 그룹의 약 4배 정도.
  • 수용체 결합 부위에 대한 항체도 유사한 패턴을 보임 (supplementary에 있음)
  • 대체로 회복환자보다 항체 수준이 낮아 보임. 회복 환자들을 보면 대부분이 경증. 중증 환자의 항체 수준과 비교해 보면 확실히 낮음 (그림 최 우측 그래프)

 

중화항체 – 생바이러스 테스트

  • 세가지의 생바이러스를 이용한 방법과 가짜 바이러스를 이용한 총 네가지 방법으로 테스트. 각각의 방법이 뭔지는 몰라도 됨. 생바이러스를 이용한 테스트 방법의 경우 시간이 많이 걸려서 전체 참여자는 다하지 못함.
  • 한번 접종의 경우 회복 환자 대비 항체 수준이 낮음. 두번 접종은 비슷한 정도.

한번 접종군 두번 접종군 일차 그림 4
Marburg VN assay 62% (23/37) 100% (10/10) 56일차 A, B
PHE MNA80 assay 91% (32/35) 100% (9/9)
C, E, F
PHE PRNT50 assay 100% (35/35)
28일차 D

 

  • 가짜 바이러스 (Spike 단백질을 껍질에 발현시키는 다른 바이러스)를 이용한 테스트 방법도 이용. 이 경우는 직접 할 수 있고 BSL4가 필요하지 않아서 테스트 수가 많음.
  • 그림의 35, 42일차는 두번 접종군. 역시나 두번 접종을 해야 회복 환자와 유사한 수준의 중화항체를 보임.

 

T세포 반응

 

  • 직접 T 세포 카운트를 하는 대신 간접 방법인 인터페론 감마 반응을 측정. Spike 단백질의 일부를 터여한 후 인터페론 감마가 어느 정도 나오는지를 측정함.
  • 한번 접종이나 두번 접종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 듯. 발현 수준도 그리 높지 않음.

 

결론

  • 과거 메르스에 대해 한번 접종만으로 충분한 항체 반응을 일으켰던 방법을 사용. 그러나 코로나-19에 대해서는 한번만으로는 안되는 듯 보임. 이부분이 애초의 셀링 포인트였음.
  • 중화항체 반응, T세포 반응 모두 그리 높은 수준은 아닌 듯. 어쨌든 두번 접종시 비록 10명의 데이터지만 모두에게서 중화항체가 생성된 점은 긍정적.
  • 모더나, 비온택처럼 중화항체가 피크를 이루고 줄어드는 듯한 모습은 크게 보이지 않음.
  • 근데 따지고 보면 긍정적인 데이타는 모두 10명에게서 나온 것. 환자수를 늘려서 진행한 데이타를 볼 필요가 있어보임.
  • 부작용도 진통제를 포함한 그룹을 추후 따로 만들 정도면 꽤 있어 보임.
  • 모더나의 경우처럼 백인만 많이 포함된 점도 좀…
  • 논문도 데이타 제시 방식이 좀 깔끔하지 못하고 술술 읽히는 논문은 아녔음
  • 결론적으로 애초의 기대만큼 대단한 백신은 아닌 것 같음. 오늘 AZN 주가 움직임이 잘 설명해 주는 듯.

 

 

약장수 텔레그램

Moderna 백신 후보물질 mRNA-1273 임상 1상 결과 논문 발표

Moderna 백신에서 보이는 몇가지 한계점들

Inovio (INO) 코로나-19 백신 후보물질 임상 1상 중간 결과 발표

BioNTech/Pfizer 코로나-19 백신 후보물질 임상 1/2상 중간 결과 발표

반응형
Posted by 약 장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