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ekly Biotech Review 20200313
정말 엄청난 일주일이었습니다. 주식투자 경력이 짧아서 이런 경험은 처음이네요. 나름 헷징을 한다고는 했지만 비중이 너무 작아서 새발의 피였고, 손 쓸틈 없이 그저 피를 철철 흘리면서 맞을수 밖에는 없었습니다.
주말동안 사우디와 러시아의 감산 합의가 불발되고 사우디가 오히려 증산을 고려한다는 뉴스가 나오면서 월요일 유가가 폭락했고 주식도 폭락을 했습니다. 안그래도 코로나-19가 유럽과 미국으로 급속도로 퍼져나가는 와중에 유가 폭락으로 미국의 크레딧 리스크 이야기도 나오고, 목요일 트럼프의 갑작스런 유럽발 이동 금지가 나오면서 남유럽 재정위기설까지 나오는 등 악재가 악재를 불러와서 한꺼번에 터져나온 일주일이었습니다. 개별 기업 이슈, 섹터 이슈가 전혀 이슈가 되지 못하는 장세라 의미가 없을것 같다는 생각이 들어서 이번주 weekly review를 올려야하나 심각한 고민도 했습니다. 하지만 전염병은 언젠가 지나갈거고, 남는건 기업의 펀더멘탈이라는 생각에 이번주도 올려 봅니다.
어쨌든 금요일에는 트럼프의 기자회견 후 반등을 주면서 끝나서 그나마 다행이란 생각입니다. 금요일 장마감 30분전에 시작된 트럼프의 기자회견을 생중계로 지켜봤습니다. 내용의 골자는 국가비상사태 선포, $50B의 지원책, 한국과 같은 드라이브 스루 검진소를 월마트, 타겟, CVS, 월그린 주차장에 설치해서 검진을 늘리겠다는 내용이 핵심이었습니다. 그동안 미국의 코로나-19에 대한 대응을 보면 환자가 발생한 지역의 주정부만 열일하고 중앙정부는 좀 손놓고 있는듯한 태도로 일관했었습니다. 이런 재난 사태를 제대로 대응을 하려면 (1) 중앙정부 차원의 방역 의지 (2) 정부와 야당의 정책 공조 (3) 정부의 재정정책 (4) 연준의 통화정책, 이 네가지가 공조하는 모습을 보여야 시장의 불안감이 조금 진정될 수 있다고 봤는데 연준만 나름 노력하고 있는 모습을 보인 반면 (1)~(3)은 전혀 되지 않고 있던 상황이었습니다. 그러다 오늘 (1)~(3)이 모두 나왔습니다. 그동안 사태의 심각성을 인식하지 못한듯한 모습을 보이던 트럼프가 오늘 기자회견에서는 조금 달라진 듯한 모습을 보였습니다. 기자회견 자체도 코로나 방역 대응에 공조하는 행정부내 보건 전문가들과 민간 기업의 CEO들을 대거 연단에 세우고 한마디씩 하게 하면서 미국인들이 좋아할만한 어벤저스 감성을 불러일으켜 주는 쇼를 연출해줬습니다. 쇼였지만 일단은 성공한듯 합니다. 이제는 다음주 수요일 나올 연준의 대책에 모두들 촛점이 모아질 것 같습니다. 그렇다고 확진자수 늘어나는 것은 막을 수 없을 겁니다. 로슈의 속성진단 키트를 드라이브스루에 적용해 진단을 적극적으로 한다고 했으니 당분간 미국의 확진자 수는 이번주보다 더 빠른 속도로 늘어나게 될거라고 보고 이 추세가 어느정도 안정되기 전까지는 주식시장이 제대로된 반등을 보이기는 어렵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오일 폭락 이전에는 시장 대비 나름 선방해주고 있던 바이오 섹터가 오일 폭락으로 크레딧 리스크가 불거지면서 시장대비 언더퍼폼하기 시작했습니다. 소형주 위주로 하락폭이 큰 점은 XBI와 IBB 두 ETF의 낙폭만 비교해봐도 쉽게 알 수 있습니다. 헬스케어 섹터 전반은 미니 슈퍼화요일 경선에서 조 바이든이 압승을 거둔 여파로 지수 대비 상대적 낙폭이 작았습니다.

매크로 및 헬스케어 정책 관련
민주당 경선: 2/29 사우스 캐롤라이나와 미니 슈퍼 화요일로 불린 3/3 6개주 경선에서 조 바이든이 압승. 대의원은 870-714로 조 바이든 우세. 조 바이든은 인터뷰에서 Medicare for All을 비토하겠다고 밝힘. 최근 코로나-19에 대한 트럼프의 대응이 리더십을 보이지 못하면서 대통령 당선 가능성이 급전 직하중.

FDA: 코로나-19로 4월까지 해외 사이트의 점검을 연기한다고 밝힘. 미국의 API의 해외 의존도가 72%로 높은 상황에서 의약품 쇼티지가 나올 수 있는 상황. 코로나바이러스 사태가 종료되면 아마도 API 생산 시설을 미국으로 옮기려는 움직임이 나올 수 있을 듯. (다른 산업도 마찬가지?)
신약승인 - 신규 승인
Recordati SpA, Novartis (NVS): FDA가 Isturisa (osilodrostat) 경구용 태블릿을 쿠싱병 (Cushing disease)에 대해 승인. Isturisa는 2019년 Novartis가 $390M에 이태리 제약사 Recordati에게 매각.
신약승인 - 확장 승인
Novo Nordisk (NVO): 헬스 캐나다가 지효성 식사시간 인슐린 Fiasp (insulin aspart injection)를 2세 이상의 1형과 2형 당뇨병 환자에 대해 승인. 또한 인슐린 펌프 사용에 대해서도 승인.
Boehringer Ingelheim: FDA가 경구용 Ofev (nintedanib)를 만성 섬유성 간질성 폐질환 (chronic fibrosing interstitial lung diseases, ILD)에 대해 승인.
Bristol-Myers Squibb (BMY): Opdivo (nivolumab), Yervoy (ipilimumab) 병용을 Nexavar (Bayer) 치료를 받은 간세포암 (hepatocellular carcinoma)에 대해 신속 승인. 최종 승인은 확인 임상시험 후.
AbbVie (ABBV), Roche (RHHBY): EC가Venclyxto (venetoclax), Gazyvaro (obinutuzumab) 병용을 만성 림프구성 백혈병 (chronic lymphocytic leukemia, CLL) 1차 치료제로 승인.
신약승인 - 승인신청, 심사개시, 신속승인지정, CRL etc
Athenex, Inc. (ATNX): FDA가 tirbanibulin 연고의 광선각화증 (actinic keratosis, AK) 사용에 대해 승인 심사 개시. PDUFA 12/30. 회사측은 AdCom이 열려지 않을 것이라 밝힘.
GW Pharmaceuticals (GWPH): EMA에 TSC 관련 뇌전증에 대한 Epidiolex (cannabidiol)의 확장 승인 신청.
Vanda Pharmaceuticals Inc. (VNDA): 스미스마제니스증후군 (Smith-Magenis Syndrome)에 대해 제출한 Hetlioz의 sNDA에 대해 FDA로부터 refusal to file 레터를 받음.
임상시험
Ionis Pharmaceuticals (IONS), Roche (RHHBY): 헌팅턴병에 대한 RG6042 (IONIS-HTT-Rx)의 Gen-Peak 임상시험에서 2명의 환자에게서 척추강내 투여에 사용된 카테터를 통한 감염이 확인되면서 임상시험이 중단됨. Ionis는 Generation-HD1 pivotal study와 open-label extension study는 카테터를 사용하지 않아서 진행에 문제가 없다고 주장.
Bristol-Myers Squibb (BMY), AbbVie (ABBV): 다발성 골수종 (multiple myeloma, MM) 신규환자에 대한 Empliciti (elotuzumab), Revlimid (lenalidomide), dexamethasone 삼중 병용에 대한 임상 3상 ELOQUENT-1에서 Revlimid (lenalidomide), dexamethasone 병용 대비 primary endpoint인 PFS의 개선에서 통계적 유의미성 확보에 실패.
Takeda Pharmaceutical's (TAK): 골수이식이 불가능한 다발성 골수종 (multiple myeloma, MM) 신규환자에 대한 Ninlaro (ixazomib), Revlimid (lenalidomide), dexamethasone 삼중 병용에 대한 임상 3상 TOURMALINE-MM2 에서 Revlimid (lenalidomide), dexamethasone 병용 대비 primary endpoint인 PFS의 개선에서 통계적 유의미성 확보에 실패. 그러나 수치적으로는 35.3개월 vs 21.8개월로 개선을 보임 (p=0.073).
Kala Pharmaceuticals (KALA): 안구건조증 (dry eye disease)에 대한 KPI-121의 임상 3상 STRIDE 3에서 primary endpoint를 충족. KPI-121은 2019년 8월 FDA로부터 추가적인 임상 데이타를 요구하며 CRL 받음. Kala는 이번 임상 결과를 바탕으로 2분기에 FDA에 재접수 예정. 아래 그래프는 Evaluate Pharma에서 예상하는 안구건조증 탑10 의약품 예상 매출.

Santen Pharmaceutical Co., Ltd. (OTC:SNPHF), TRACON Pharmaceuticals, Inc. (TCON): 습식 노인성 황반변성 (wet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wAMD)에 대한 DE-122, Lucentis (Novartis) 병용의 임상 2a상 AVANTE에서 primary endpoint를 충족하는데 실패. 양사는 DE-122의 개발을 중단한다고 발표. 일본의 Santen은 2014년 TRACON으로부터 DE-122를 라이선싱.
ViiV Healthcare, Johnson & Johnson (JNJ), GlaxoSmithKline (GSK), Pfizer (PFE), Shionogi (SGIOY): HIV 감염에 대한 cabotegravir, rilpivirine (J&J) 병용의 임상 3상 ATLAS-2M에서 2달 투여 용법이 1달 투여 용법에 대해 비열등성을 보임. ViiV Healthcare는 GSK, Pfizer, Shionogi의 HIV 조인트 벤쳐.
Gilead Sciences (GILD): HIV-1감염 고위험군 남성, 트랜스젠더 여성의 Descovy 예방요법 사용에 대한 임상 3상 DISCOVER 장기 추적 결과 자사의 Truvada 대비 비열등성을 보임. 하지만 Truvada 복제약 진입을 앞두고 있어서 우월성을 보이지 않는 이상 의미 없다는 중론.
Gilead Sciences (GILD): HIV 양성 환자에 대한 vesatolimod (TLR7 agonist)의 임상 1b상에서 약한 (modest) 반응을 보임. Gilead는 vesatolimod의 병용 개발을 고려.
AstraZeneca (AZN), Merck (MRK): 플라티넘 민감성 난소암 (platinum-sensitive ovarian cancer)에 대한 Lynparza (olaparib), cediranib (VEGFR 저해제) 병용의 임상 3상 GY004에서 primary endpoint인 플라티넘 화학치료 대비 PFS에서 개선을 보이는데 실패.
Agenus Inc. (AGEN): 바이오마커로 미리 스크리닝하지 않은 불응성 자궁경부암 (refractory cervical cancer)에 대한 balstilimab (anti-PD-1), zalifrelimab (anti-CTLA-4) 병용 2차 치료제에 대한 임상 2상 중간 결과에서 26.5%의 ORR을 보임 (4 CR, 5 PR, 8 SD). 지난 2월에는 20.6%의 ORR을 발표했었음.
Oncternal Therapeutics (ONCT), AbbVie (ABBV), Johnson & Johnson (JNJ): 저항성/불응성 외투세포 림프종 (relapsed/refractory mantle cell lymphoma, MCL)에 대한 cirmtuzumab, Imbruvica (ibrutinib) 병용의 임상 1/2상에서 ORR 83% (10/12), 6 CR, 100% DCR (12/12)를 보임. Cirmtuzumab은 ROR1을 저해하는 항체.
Rubius Therapeutics, Inc. (RUBY): 임상 1b상의 결과가 해석불능이라 RTX-134의 페닐키토뇨증 (phenylketonuria, PKU)에 대한 개발을 중단한다고 발표.
Merck KGaA (MKGAY), Pfizer (PFE): 국부 진행성 머리 목 편평세포암 (locally advanced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head and neck)에 대한 PD-L1 항체 Bavencio (avelumab), 표준치료인 화학치료 CRT 병용 1차 치료에 대한 임상 3상 JAVELIN이 CRT 단독 대비 PFS에서 차이를 보이지 못할 것 같다는 데이타 모니터링 위원회의 권고에 따라 임상 중단 결정.
M&A, Licensing, Collaboration, Spinoff
Forty Seven (FTSV), Rocket Pharmaceuticals (RCKT): 지난주 Gilead에 인수발표된 Forty Seven이 판코니 빈혈 (Fanconi Anemia)에 대해 자사의 cKIT 항체 FSI-174와 Rocket의 ex vivo 렌티바이러스 유전자 치료제 RP-L102 병용을 함께 테스트하기로 협업 계약을 맺음. Forty Seven은 수주내 임상 1상을 시작할 계획.
Merck (MRK), Sutro Biopharma (STRO): 양사가 암과 자가면역질환에 대한 cytokine 치료제 개발에 대해 2018년 맺은 협업 계약을 1년 연장하기로 함.
XOMA (XOMA), Zydus Cadila: XOMA의 IL-2와 IL-2 항체에 대해 인도의 Zydus Cadila가 인도, 브라질, 멕시코와 다른 이머징 마켓에서의 개발 및 판매권을 라이선싱.
IPO
Zentalis Pharmaceuticals (ZNTL): $100M 규모의 IPO를 위해 잠정 계획서 제출. 리드 후보물질은 경구용 에스트로젠 수용체 분해제 (selective estrogen receptor degrader, SERD)인 ZN-c5로 ER양성 HER2 음성 진행성/전이성 유방암에 대해 임상 1/2상을 진행중. 또한 ZN-c3이 고형암에 대해, ZN-c3이 비소세포폐암에 대해 임상 1/2상을 진행중.
COVID-19 관련
아래는 제가 참가하고 있는 카톡방에 어떤 분이 영국에서 코로나-19 백신의 임상시험이 이미 시작했다는 링크를 올려주셔서 제가 드렸던 답글입니다. 나중에 찾아보니 Hvivo라는 회사가 지원자들에게 £3,000-£4,000를 주고 OC43와 229E 라는 코로나바이러스 균주를 감염시키고 백신을 테스트한다는 내용이었습니다. 일단 OC43와 229E 각각 베타와 알파 코로나바이러스로 감기 정도의 증상을 일으키는 흔한 균주입니다. 메르스와 사스의 경우 베타에 속하지만 SARS-CoV-2는 이 둘에 속하지 않는 균주이고 그래서 신종으로 분류되는 것 같습니다. 임상시험에 사용하는 백신이 이 두 균주에 면역반응을 일으킨다해도 SARS-CoV-2에도 듣는다는 보장은 전혀 없습니다. Hvivo라는 회사는 찾아보니 의약품을 개발하는 회사가 아니고 임상시험 대행 서비스를 해주는 회사 같습니다. 아마도 클라이언트 기업을 대신해서 임상시험을 해주고 있는 것 같은데 제가 찾아본 기사들에서는 어느 회사인지는 나와있지가 않는 것 같습니다.
“코로나-19 환자가 아니라 코로나바이러스 중에 독성이 약한 균주를 자원자들에게 감염시키고 백신을 테스트한다고 하는걸로 봤을 때 코로나-19 전용으로 만들어진 백신이 아니고 일반 코로나바이러스 백신같아 보입니다. 기사가 유로라 잘려서 어느 회사가 진행하는지 모르겠지만 아래 링크는 WHO에 보고된 코로나-19 전용 백신 개발 기업들 명단입니다. 명단에도 없는 회사가 갑자기 튀어나와서 우리 백신 만들었다고 하는건 말이 안됩니다.
https://www.who.int/blueprint/priority-diseases/key-action/novel-coronavirus-landscape-ncov.pdf
백신을 만들려면 배양한 바이러스를 불활성화시킨 생백신을 만들던가, 유전자 염기서열을 이용한 재조합 단백질이, DNA, RNA 백신을 만들어야하는데 속도면에서 DNA, RNA 백신이 훨씬 빠를수밖에 없고 만만한 기술은 아닙니다. 코로나-19 유전자 염기서열이 밝혀진 것이 1월 10일 정도입니다. 생백신의 경우 바이러스 확보가 우선인데 갑툭튀 회사에서 WHO 통하지 않고 이런걸 구할수 있을리가 만무하구요, 시간도 많이 걸립니다. 중국회사라면 초기 발병지였으니 바이러스를 구할수도 있었겠지만 유럽은 이제 퍼지기 시작했으니 퍼진다음에 어떻게 구했다고 해도 시간상 벌써 임상시험 들어간다는게 말이 안됩니다.
구별해서 보셔야할것이 코로나-19 의약품 개발은 크게 두갈래로 진행되고 있습니다. 첫번째는 항바이러스제로 길리어드의 렘데시비어 같은 이미 감염된 환자들에 대한 치료제고, 두번째는 백신인데 백신은 예방접종용입니다. 세번째를 덧붙이자면 증상을 완화시켜주는 의약품들이 있는데 IL-6 저해제같이 크리티컬한 것들도 있지만 근본 치료제는 아닙니다. 혼용해서 알고 계시는 경우들이 많은것 같습니다. 그리고 지나간 유행성 감염질환때마다 수많은 회사들이 튀어나와서 백신을 만든다고 해왔지만 개발을 끝내 시장에 출시한 회사는 몇 안됩니다. 대형 제약사나 백신 개발 전력이 있는 회사들이 아니면 다른 회사들은 노이즈라고 보시는게 맞습니다.”

미국의 증가율이 30% 대를 계속 유지중입니다. 다음주부터는 드라이브 스루에 속성 진단까지 더해진다고 했으니 증가율 폭이 더 올라갈듯 합니다.

이번 주말이나 다음 주초쯤에 중국 이외지역 확진자 수가 중국 확진자 수를 넘어가는 크로스가 나올듯 싶습니다.
Biogen (BIIB): 지난주에 Biogen이 보스톤의 Marriott Long Wharf에서 가진 strategic meeting 참석자들 중 유럽과 테네시에서 온 스태프 3명이 코로나-19 확진을 받았다는 뉴스가 나왔었는데, 주말을 거치면서 이 뉴스가 커지고 있음. 수요일 현재 확진자가 총 77명으로 늘어난 상태. Biogen은 전 직원에게 재택 근무 명령을 내림. 더불어 3/4에 있었던 역시 보스톤에서 열린 Cowen and Company 40th Annual Health Care Conference에 참석했던 Biogen의 임원들 중 두명이 확진 판정을 받아 이 미팅 참석자들도 패닉 상태.
AACR 연례학회 취소: 4/24~29 샌디에고에서 예정되어있던 세계 최대 규모의 암학회 AACR의 연례학회가 코로나바이러스로 인해 취소. 5/29부터 열리는 ASCO도 취소 고려중.
AbbVie (ABBV): 자사의 HIV 치료제 Kaletra/Aluvia (lopinavir/ritonavir)을 유럽과 미국의 보건당국, CDC, NIH, BARDA 등과의 협업하에 COVID-19에 대해 테스트한다고 발표. 또한 환자가 많이 발생하는 국가들에 Kaletra/Aluvia을 공급한다고 발표.
UnitedHealth Group (UNH), Centene (CNC): 지난주 Cigna, Anthem, CVS Health에 이어 UNH와 Centene도 COVID-19 테스트 및 이와 관련된 의료비용에서 환자부담금을 면제한다고 발표. 지금은 조바이든 효과로 비교적 다른 산업군에 비해 하락폭이 적은 상태지만 아마도 이번 코로나바이러스 사태가 종료되면 이들 MCO의 마진은 상당히 축소되어있을 듯.
Novavax (NVAX), Emergent BioSolutions (EBS): The Coalition for Epidemic Preparedness (CEPI)로부터 $4M의 COVID-19 백신 개발 비용을 지원 받음. 현재 CEPI의 지원을 받아 백신을 개발중인 곳은 CureVac, Inovio Pharmaceuticals, 호주 퀸즈랜드 대학, Moderna, NIAID 다섯군데. Moderna는 이미 뱃치 작업 완료하고 NIAID에 임상시험을 위한 쉬핑 완료. Novavax는 DNA 백신 개발업체. 제조는 Emergent Biosolution이 담당하기로. 현재 후보물질 선정과정이고 이번 봄에 임상시험 시작 예정. 한편 CEPI는 조만간 보유한 자금이 다 떨어질 예정이고 모금이 필요하다고 발표.
Emergent BioSolutions (EBS): 바이오테러용 백신 전문 기업 EBS가 자사의 hyperimmune platforms을 이용 SARS-CoV-2에 대한 두개의 항체 COVID-HIG와 COVID-EIG을 개발한다고 발표. 임상시험은 3분기 시작 예정.
Vir Biotechnology (VIR), Biogen (BIIB): Vir이 NIAID와 공동으로 SARS-CoV-2, SARS, MERS에 대한 항체를 개발한다고 발표. SARS-CoV-2 항체는 바이오젠이 생산을 맡기로 함.
Tiziana Life Sciences (TLSA): 지난주 중국에서 Roche의 관절염 치료제 Actemra (IL-6 항체)를 COVID-19의 치료에 사용한다고 발표 한 후 유사한 IL-6 항체를 개발중이던 Tiziana가 자사의 TZLS-501을 COVID-19 치료제로 개발한다고 발표. IL-6는 사이토카인 폭풍 (cytokine storm)의 원인으로 지목되는 면역 단백질로 CAR-T의 주요 부작용인 사이토카인 폭풍에 대한 치료제로도 개발되고 있음. COVID-19에서도 유사한 사이토카인 폭풍 증상이 나타난다고 함.
Inovio Pharmaceuticals Inc (INO): COVID-19 백신 후보물질 INO-4800 개발을 위해 CEPI에 이어 빌&멜린다 재단으로부터 $5M을 받았다고 발표. 현재 전임상 중이고 4월에 임상시험 시작할 계획.
RedHill Biopharma (RDHL): 이스라엘의 항생제 개발기업 RedHill이 opaganib, RHB-107을 hydroxychloroquine과 더불어 단독, 혹은 병용으로 COVID-19 치료제로 테스트한다고 발표. Opaginib는 SK-2 저해제, RHB-107 (upamostat)는 S1 family of trypsin-like serine proteases 저해제로 항암 및 항염증 작용이 있음.
Roche (OTC:RHHBY): FDA가 cobas SARS-CoV-2 Test 코로나-19 진단 테스트에 대해 비상 사용 권한 (Emergency Use Authorization, EUA)를 부여. cobas SARS-CoV-2 Test는 비강, 구강에서 면봉으로 채취한 샘플에서 코로나-19 감염 여부를 진단해주는 자동화 기기. 수작업 과정이 들어가는 기존 테스트에 비해 전자동이라 3.5시간 안에 결과가 나오고 24시간동안 4,128개의 검사가 가능. 금요일 트럼프의 기자회견에서도 드라이브 스루 검진소와 함께 cobas SARS-CoV-2 Test가 언급됐음.
Eli Lilly (LLY), AbCellera: Lilly가 캐나다 바이오텍 AbCellera와 코로나-19 항체를 공동 개발하기로. AbCellera는 SARS-CoV-2에 대한 항체 500개를 확보 중.
Gilead Sciences (GILD): 기대를 모으고 있는 remdesivir가 일본에 정박했던 다이아몬드 프린세스 크루즈선에 탑승한 미국인 환자들의 치료에 도움이 됐다는 보도가 나옴. 75세 이상의 14명의 환자 포함 17명의 미국인 환자들에게 열흘동안 매일 투여한 결과 2주후 모두 생존해 있고 절반 이상이 회복했음. 그러나 5명은 아직 위중한 상태. 중국에서 진행중인 임상시험 결과는 빠르면 3월 내에 나올 예정.
Johnson & Johnson (JNJ): J&J가 Beth Israel Deaconess Medical Center (하버드 의대 부속 병원 중 하나)와 함께 자사의 AdVac, PER.C6 기술을 이용 코로나-19에 대한 백신 개발에 착수. 이달 말까지 후보물질을 선정하고 올해 말 안에 임상 1상에 돌입할 예정.
아래 표는 위에 언급된 종목들의 일주일간 수익율입니다.
Symbol | Name | Weekly Gain | 시가총액 |
S&P500 (SPY) | SPDR S&P 500 ETF Trust | -9.46% | |
Nasdaq100 (QQQ) | PowerShares QQQ Trust, Series 1 | -7.54% | |
바이오텍 (XBI) | SPDR S&P Biotech | -16.49% | |
TLSA | TIZIANA LF SCIE/S ADR | 58.29% | 68.3M |
EBS | Emergent Biosolutions Inc | 17.24% | 3.6B |
CNC | Centene Corp | 8.56% | 37.3B |
STRO | Sutro Biopharma Inc | 7.03% | 235.5M |
AGEN | Agenus Inc | 3.28% | 346.2M |
KALA | Kala Pharmaceuticals Inc | 3.18% | 250.0M |
FTSV | Forty Seven Inc | -1.16% | 4.5B |
LLY | Eli Lilly And Co | -1.48% | 133.3B |
VNDA | Vanda Pharmaceuticals Inc. | -2.48% | 549.4M |
ABBV | AbbVie Inc | -3.88% | 126.3B |
BIIB | Biogen Inc | -4.01% | 53.1B |
RHHBY | Roche Holdings AG Basel ADR Common Stock | -4.12% | 277.2B |
UNH | UnitedHealth Group Inc | -4.17% | 258.0B |
VIR | Vir Biotechnology Inc | -4.46% | 4.8B |
JNJ | Johnson & Johnson | -5.45% | 354.0B |
PFE | Pfizer Inc. | -6.60% | 181.5B |
MRK | Merck & Co., Inc. | -6.63% | 194.7B |
NVS | Novartis AG | -7.13% | 201.2B |
RDHL | REDHILL BIOPHAR/S ADR | -7.64% | 608.6M |
BMY | Bristol-Myers Squibb Co | -8.82% | 124.1B |
BMY | Bristol-Myers Squibb Co | -8.82% | 124.1B |
IONS | Ionis Pharmaceuticals Inc | -10.15% | 6.7B |
GSK | GlaxoSmithKline plc | -10.69% | 189.9B |
AZN | AstraZeneca plc | -11.03% | 55.5B |
GILD | Gilead Sciences, Inc. | -11.81% | 89.4B |
ONCT | Oncternal Therapeutics Inc | -13.75% | 49.2M |
SGIOY | SHIONOGI & CO L/ADR | -13.78% | 1511.1B |
GWPH | GW Pharmaceuticals PLC- ADR | -13.92% | 31.0B |
TAK | Takeda Pharmaceutical Co Ltd | -17.20% | 4894.6B |
XOMA | XOMA Corp | -18.69% | 183.9M |
INO | Inovio Pharmaceuticals Inc | -26.53% | 991.9M |
ATNX | Athenex Inc | -26.59% | 698.7M |
RCKT | Rocket Pharmaceuticals Inc | -30.20% | 752.3M |
NVAX | Novavax, Inc. | -32.61% | 433.4M |
RUBY | Rubius Therapeutics Inc | -50.96% | 304.8M |
TCON | TRACON Pharmaceuticals Inc | -56.05% | 5.9M |
'Weekly Biotech Review > Weekly Review' 카테고리의 다른 글
Weekly Biotech Review 20200327 (2) | 2020.03.28 |
---|---|
Weekly Biotech Review 20200320 (6) | 2020.03.21 |
Weekly Biotech Review 20200306 (6) | 2020.03.07 |
Weekly Biotech Review 20200228 (2) | 2020.02.29 |
Weekly Biotech Review 20200221 (2) | 2020.02.22 |